라오스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 내전은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 지배 이후 독립 과정에서 발생한 내전으로, 파테트 라오를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세력과 왕당파 간의 갈등이 주요 내용이다. 북베트남은 호치민 루트를 통해 파테트 라오를 지원했고, 미국은 왕당파와 몽족 게릴라를 지원하며 개입했다. 1975년 파테트 라오가 승리하여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이 과정에서 대규모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국토 파괴가 일어났다. 내전은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보여주며, 현재까지도 불발탄 문제 등 냉전의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오스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라오스 내전 | |
![]() | |
기간 | 1959년 5월 23일 – 1975년 12월 2일 |
장소 | 라오스 |
결과 | 파테트라오와 북베트남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라오스 왕국 중립주의자 (1962–1966) 미국 남베트남 (1975년 멸망까지) 태국 |
교전국 2 | 파테트라오 북베트남 중립주의자 (1960–1962) 공산주의 중립주의자 (1963–1969)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시사왕 왓타나 수완나 푸마 푸미 노사반 방 파오 분 움 콩 레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로버트 맥나마라 클라크 클리퍼드 멜빈 레어드 사릿 타나랏 타놈 키티카촌 |
교전국 2 지휘관 | 수파누봉 카이손 폼비한 푸미 봉비치트 드완 순나랏 누학 폼사반 호찌민 톤득탕 쯔엉찐 레주안 팜반동 레득토 보응우옌잡 레쫑떤 반티엔둥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라오스 왕국군: 50,000명 (1954년) 태국 용병: 17,000−21,000명 (1962년) 몽족 민병대: 19,000–23,000명 (1964년) |
교전국 2 병력 | 8,000명 (1960년) 48,000명 (1970년) 북베트남군: 10,000+명 (1970년) |
사상자 | |
교전국 1 사상자 | 라오스 왕국군: 15,000명 사망 |
교전국 2 사상자 | 북베트남군: 약 42,000명 사망 |
총 사상자 | 20,000–62,000명 사망 |
2. 역사적 배경
寮國중국어 (라오스)는 19세기 말부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의 점령을 겪었다. 1945년 일본 패망 후 라오스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프랑스는 식민 지배를 재개하려 했고, 이에 맞서 라오스 내에서는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다.[30] 1953년 프랑스-라오스 협정으로 라오스는 완전한 독립을 얻었지만,[110] 이후에도 라오스 내부의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다.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지원을 받은 파테트 라오는 1950년대 초 라오스 북동부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왕국 정부에 맞섰다.[24] 1953년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를 침공하여 내전이 시작되었다.[33]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종식되었으나, 파테트 라오는 협정을 무시하고 독자적인 군사 행동을 계속했다.
1947년 5월 11일, 시사방 봉 국왕은 라오스를 프랑스 연합 내의 독립 국가로 선포하는 헌법을 공포했다.[25] 이는 새로운 정부 건설과 라오스 왕국 육군의 초기 형태인 국군(Armée Nationale Laotienne) 창설로 이어졌다.[25]
새로 창설된 군대는 라오스 지도자 부족과 장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6] 프랑스 장교가 지휘하는 경보병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낙하산 부대도 포함되었다.[27] 프랑스는 라오스 장교와 부사관을 훈련시키면서 군대의 지휘와 훈련을 계속했다.
한편, 베트민은 1949년 1월, 25명의 초기 게릴라 부대로 파테트 라오라는 혁명 운동을 시작했다.[28] 1949년 10월, 망명 중이던 라오 이사라는 해산되었고, 펫사랏 랏타나봉사, 수반나 푸마, 수파누봉 세 왕족 형제는 각자 다른 길을 선택했다. 수파누봉은 호찌민을 만나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게릴라 부대를 창설했다.[19][16]
1950년 8월, 수파누봉은 네오 라오 학 삿(라오 애국전선)이라는 정치 조직과 함께 파테트 라오의 수장이 되었다.[29] 이는 라오스 공산주의 운동에 허위 권위를 부여하려는 시도였다.[30] 1950년 12월 23일, 미국, 프랑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5자 상호 방위 지원 조약에 서명하여 미국의 군사 원조가 인도차이나에서의 프랑스 전쟁 노력으로 이전되었다.[31]
1951년 2월,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3개로 분열되었고, 새로운 라오스 지부는 2,091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었지만, 라오스인은 31명에 불과했다. 1951년까지 파테트 라오는 군사 작전에서 베트민에 합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훈련된 병력을 확보했다.[24] 1952년 말까지 라오 왕국 육군은 라오스 장교가 지휘하는 대대와 17개 중대를 포함하도록 성장했다.[25]
라오스 내전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왕당파, 중립파,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 세력 간의 권력 투쟁으로 시작되었다.
3. 라오스 내전의 전개
1959년,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파테트 라오의 공세로 라오스 내전은 본격화되었다.[50] 1960년, 중립파 콩 레 대위의 쿠데타로 라오스 정국은 혼란에 빠졌고, 왕당파, 중립파, 파테트 라오 간의 삼파전이 전개되었다.[54]
1962년 라오스 중립에 관한 국제 협정이 체결되었으나,[74] 북베트남은 이를 무시하고 라오스에 주둔하며 파테트 라오를 지원했다. 1964년부터 미국은 호치민 루트 차단과 파테트 라오 확장을 막기 위해 비밀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77]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내전은 격화되었고, 미국의 대규모 폭격으로 라오스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82]
3. 1. 파테트 라오의 승리 (1973년 ~ 1975년)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으로 미국은 라오스에서 철수했지만, 북베트남은 파테트 라오를 지원하며 라오스에 계속 주둔했다.[50]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파테트 라오는 1975년 라오스 전역에서 공세를 강화했다. 이들은 수도 비엔티안을 점령하고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했다. 파테트 라오의 승리로 라오스 내전은 종식되었고, 왕정은 폐지되었으며 공산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
4. 주요 세력
라오스 내전의 주요 세력은 크게 세 파로 나뉜다. 라오 왕국 정부를 지지하는 우파, 콩 레 대위가 이끄는 중립파, 그리고 수파누봉이 이끄는 좌파 파테트 라오였다. 이들은 각자의 이념과 목표를 가지고 내전에 참여했으며, 외세의 개입으로 인해 분쟁은 더욱 복잡해졌다.
4. 1. 라오 왕국 정부 (우파)
라오 왕국 정부는 프랑스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한 라오스의 합법 정부였지만, 내부적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미국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왕당파는 주로 전통적인 지배 계층과 군부 세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분 ৌম 왕자, 푸미 노사반 장군 등이 있다.1947년 5월 11일, 시사방 봉 국왕은 라오스를 프랑스 연합 내의 독립 국가로 선포하는 헌법을 공포했다.[25] 이는 새로운 정부 건설과, 특히 라오 왕국 육군(Royal Lao Army)의 초기 형태인 국군(Armée Nationale Laotienne) 창설의 시작이었다.[25]
초기 국군은 라오스 지도자 부족과 다양한 무기로 어려움을 겪었다.[26] 따라서 프랑스 장교가 지휘하는 경보병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낙하산 부대 하나가 포함되었다.[27] 프랑스는 새로운 군대의 지휘와 훈련을 계속하면서 라오스 장교와 부사관 훈련을 시작했다.
1951년 10월까지 국군(Armée Nationale Laotienne)은 보병 대대 2개를 추가 창설하고 낙하산 부대 훈련을 시작하여, 총 5,091명의 병력으로 그 해를 마감했다.[32] 1952년 말까지 라오 왕국 육군은 라오스 장교가 지휘하는 대대와 17개 중대를 포함하도록 성장했다.[25]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라오스는 독립을 얻었지만, 프랑스는 라오스에 두 개의 군사 기지를 유지하고 새로운 라오스 군대에 "군사 고문"을 유지했다. 라오스 왕국 정부 군대는 1954년 프랑스로부터 최초의 항공기(모란-솔니에 MS-500 크리켓 9대)를 지원 및 후송용으로 받았다.[17]
4. 2. 중립파
콩 레 대위가 이끄는 중립파는 라오스 내전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초, 콩 레는 쿠데타를 통해 중립 정부를 수립하려 했으나, 우파와 좌파 세력의 반발로 인해 실패했다.1969년 3월 23일, 왕국 라오스군은 자체 공군 부대와 미 공군의 지원을 받아 (레인댄스 작전) 항아리 평원/시엥쿠앙 지역의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 6월에 파테트 라오와 북베트남군은 자체 공격을 개시하여 지반을 확보했지만, 8월까지 왕국 라오스군이 다시 공격하여 상실했던 것을 되찾았고, 1969년 9월 쿠 키엣 전투에서 항아리 평원을 탈환했다.
이후 중립파는 분열되어 일부는 파테트 라오에 흡수되었고, 다른 일부는 왕당파에 합류했다. 중립파는 라오스의 중립과 외세 개입 반대를 주장했지만, 현실적인 정치적 기반이 부족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는 데 실패했다.
4. 3. 파테트 라오 (좌파)

파테트 라오는 베트민이 지원하여 1949년 1월 25명의 초기 게릴라 부대로 시작한 라오스의 공산주의 혁명 운동이었다.[28] 1946년 말까지 최소 500명의 베트민 요원이 라오스로 넘어왔다.[24]
1949년 10월, 망명 중이던 라오 이사라가 해산된 후, 수파누봉은 베트남에서 호찌민을 만나 베트남인 아내를 얻었고, 게릴라 부대를 창설하는 데 베트민의 지원을 요청했다.[16][19]
1950년 8월, 수파누봉은 베트남 하노이 북쪽에 있는 베트민 본부에 합류하여 네오 라오 학 삿(라오 애국전선)이라는 정치 조직과 함께 파테트 라오의 수장이 되었다.[29] 파테트 라오의 가장 중요한 두 창립 멤버는 왕정 전복과 프랑스 추방을 주장한 인도차이나 공산당 당원이었다. 이로 인해 라오스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지만, 처음에는 주로 프랑스를 상대로 싸웠다.[30]
1951년까지 파테트 라오는 군사 작전에서 베트민에 합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훈련된 병력을 확보했다.[24]
1953년, 파테트 라오는 베트남 인민군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를 침공하여 삼느아와 퐁살리 지방에 정부를 수립했다. 이들은 라오스 왕국 정부와 계속 싸우면서 라오스 북부에서 권력을 공고히 했다.
1955년, 라오 왕국 정부군이 삼느아와 퐁살리로 파병되면서 파테트 라오의 반감을 샀다. 이러한 반감과 선거 절차에 대한 분쟁으로 인해 라오스 공산주의자들은 그 해의 총선을 보이콧했다.
1956년 8월, 수반나 푸마와 수파누봉 형제는 휴전을 선포하고 파테트 라오와 그들이 점령한 영토를 정부에 재통합할 의향을 발표했다. 그러나 파테트 라오는 자신들이 점령한 지역을 관리할 권리를 주장했다. 동시에 그들과 북베트남 후원자들은 9개 대대의 병력을 편성하기 위해 대규모 모병 운동을 벌였고, 신병 중 많은 수가 훈련과 교육을 위해 북베트남으로 보내졌다.[42]
1957년 11월, 파테트 라오를 포함하는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내전을 막기 위해 우익에 한 표, 좌익에 한 표"라는 슬로건을 사용하여 친공산당은 인기 투표의 3분의 1을 얻었고, 1958년 5월 4일 선거에서 21개의 경합 의석 중 13개를 차지했다.[45]
1959년, 북베트남은 파테트 라오를 지원하기 위해 라오스 북부에 약 3만~4만 명의 베트남 인민군(NVA) 병사를 배치했다.[50] 수파누봉의 명령에 따라 파테트 라오 부대는 왕립 라오스군에 통합되는 것을 거부했다.
5. 국제적 개입
라오스 내전은 여러 국가가 개입한 복잡한 분쟁이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라오스의 중립이 보장되었지만, 냉전의 영향으로 주변국들은 각자의 이익을 위해 라오스 내전에 개입했다.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으로의 병력 및 물자 수송을 위해 호치민 루트를 확보하고자 했으며, 파테트 라오를 지원했다. 1959년, 북베트남은 559부대를 창설하여 호치민 루트를 건설하고 유지했다.[48] 또한, 파테트 라오 지원을 위해 약 3만~4만 명의 인민군(NVA) 병사를 라오스 북부에 배치했다.[50]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라오스 왕국 정부를 지원했다. '비밀 전쟁'을 통해 CIA 주도로 대규모 폭격, 특수 부대 작전, 몽족 용병 지원 등을 수행했다.[111][112][113]
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라오스 왕국 정부를 지원하고, 자국 영토 내에 미군 기지 설치를 허용했다.[58] CIA 지원을 받은 태국 정부는 비밀 군사 고문단을 설립, 라오스 내 반쿠데타를 지원하고 푸미 노사반(Phoumi Nosavan) 장군 부대에 병력과 장비를 제공했다.[58] 또한 콩 레(Kong Le) 쿠데타 직후 육로 봉쇄를 통한 금수 조치를 취해 비엔티안의 주요 수입품 공급원을 차단했다.[56]
1960년 8월, 콩 레 대위의 쿠데타 이후, 미국은 티아오 삼사니트(Tiao Samsanith) 총리의 친서방 정부를 지원하는 한편, CIA는 비엔티안 중립주의 정부에 대한 반쿠데타를 지원했다. 12월 초, 소련은 비엔티안으로 군사 공수를 시작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였다.[59]
이처럼 라오스 내전은 미국, 북베트남, 태국 등 여러 국가의 개입으로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었다.
5. 1. 미국
미국은 라오스 내전에 깊숙이 개입하여 왕국 정부를 지원하고 파테트 라오와 북베트남에 맞섰다. 미국의 라오스 개입은 '비밀 전쟁'으로 불리며, CIA 주도하에 대규모 폭격과 특수 부대 작전, 몽족 용병 지원 등이 이루어졌다.[111][112][113] 미국의 개입은 라오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특히 불발탄 문제는 현재까지도 라오스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제네바 협정은 라오스의 중립을 명시했지만, 북베트남은 라오스에 대한 개입을 지속했다.[110] 1954년부터 북베트남군을 라오스에서 철수시키려는 노력이 반복되었지만, 북베트남은 라오스에서 손을 떼려 하지 않았다.
북베트남은 라오스 영내에 호치민 루트를 설치하여 남베트남 침공을 용이하게 했다. 또한 북베트남은 라오스 북부에서 군사 행동을 하며 파테트 라오를 지원했다.
CIA는 군사 개입 대신 라오스 산악 부족 출신 게릴라를 훈련시켜 북베트남군에 대응했다. 이들 게릴라는 방 파오 장군의 지휘 아래 에어 아메리카, 태국, 왕립 라오스 공군의 지원을 받으며 북베트남군, 베트콩, 파테트 라오와 싸웠다.
라오스 남부에서는 미국 공군과 해군의 대규모 공습 작전이 이루어졌다. 라오스 내 충돌은 'CIA의 비밀 전쟁'으로 불렸으며, 미국은 전쟁의 존재를 부인했다. 미국의 개입은 북베트남의 라오스 지배를 고려할 때 필요한 일이었다고 여겨지지만, 이는 아프간-소련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과 유사했다. 라오스 내 북베트남 지배 지역은 미국 공군의 격렬한 폭격을 받았으며, 이는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이었다.[111][112][113]
5. 2. 북베트남

1959년 5월 15일, 북베트남 인민군(PAVN)은 559부대를 창설했다. 이 부대는 북베트남에서 남베트남으로 전쟁 물자를 수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559부대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라오스 동부를 따라 호치민 루트를 건설하고 유지한 것이다. 이 수송망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어떤 차단 폭격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끊임없는 공중 공격을 견뎌냈으며, 결국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의 승리를 이끌었다.
1960년대 중반 이전에, 북베트남군의 지원을 받는 파테트 라오 정규군이 라오스 왕국 정부를 전복한다면,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마을에서 마을로 이어지는 대규모 공산주의 확산, 즉 도미노 효과를 우려했다.[48]
1959년 5월, 1,500명의 파테트 라오 군인을 국군에 통합하는 계획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미국 대사관은 라오스 정부에 공산주의자들이 군에 복무하는 상황에서 라오스에 대한 원조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고, 파테트 라오는 시간을 끌었다.[49]
북베트남 정부(하노이)는 주요 군사 작전 외에도 파테트 라오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약 3만~4만 명의 인민군(NVA) 병사를 라오스 북부에 배치했다.[50]
수파누봉의 명령에 따라 파테트 라오 부대는 왕립 라오스군에 통합되는 것을 거부했다. 이후 수파누봉은 체포되었으나, 두 개의 파테트 라오 부대는 탈출에 성공했고, 수파누봉과 그의 동료들도 탈출했다.[51]
1959년 7월, 인민군(PAVN) 부대가 북베트남-라오스 국경을 따라 공격하여 왕립 라오스군으로부터 영토를 점령하고 파테트 라오를 점령군으로 배치했다.[49]
9월에는 100부대가 959부대로 개편되었는데, 북베트남은 파테트 라오에 대한 군사 임무를 강화했다.[49]
5. 3. 태국
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라오스 내전에 간접적으로 개입했다. 태국은 라오스 왕국 정부를 지원했으며, 자국 영토 내에 미군 기지 설치를 허용했다.[58] CIA의 지원을 받은 사릿 타나랏(Sarit Thanarat) 태국 총리는 카우 타우(Kaw Taw)라는 비밀 군사 고문단을 설립하여 라오스 내 반쿠데타를 지원하고, 푸미 노사반(Phoumi Nosavan) 장군의 부대에 포병, 포병대원, 고문을 제공했다.[58] 또한 CIA가 지원하는 국경 순찰 경찰(Border Patrol Police)의 항공 지원 부대(Police Aerial Reinforcement Unit, PARU)를 라오스 내 작전에 투입했다.[58]태국 정부는 콩 레(Kong Le)의 쿠데타 직후 육로 봉쇄를 통한 금수 조치를 시작하여 비엔티안의 주요 수입품 공급원을 차단하기도 했다.[56]
태국은 라오스 난민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몽족 난민들은 태국을 거쳐 미국 등지로 이주했다.
6. 결과 및 영향
라오스 내전은 1975년 파테트 라오의 승리로 종식되었으며, 이로 인해 라오스는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다. 전쟁의 결과와 그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1975년 12월 2일, 비엔티안이 파테트 라오에게 함락되면서 사방 바타나 국왕은 퇴위하고 수반나 푸마 총리는 사임했다. 수파누봉을 대통령으로, 카이손 폼비한을 총리로 하는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94] 새 정부는 비공산주의 신문을 폐쇄하고, 공무원, 군대, 경찰에 대한 대규모 숙청을 단행했으며, 수천 명을 "재교육" 수용소로 보냈다.[96][97]
- 인적, 물적 피해: 라오스는 베트남 전쟁의 숨겨진 전장이었으며, 특히 미국의 대규모 폭격으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110] 미국은 호치민 루트를 차단하기 위해 라오스에 역사상 유례없는 공습 작전을 펼쳤다.[111][112][113] 이로 인해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고 국토가 황폐화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불발탄 문제가 심각하다.
- 난민 발생: 내전과 파테트 라오의 집권으로 인해 수많은 라오스인들이 국외로 탈출했다. 전체 인구의 10%에 달하는 30만 명이 태국 국경을 넘었으며,[10] 이 중에는 방 파오 장군을 따라 망명한 몽족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
- 냉전의 유산: 라오스 내전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국은 제네바 협정에 따른 라오스의 중립성에도 불구하고, 북베트남의 호치민 루트를 통한 남베트남 침공을 막고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라오스에 개입했다. CIA는 에어 아메리카 등을 통해 방 파오 장군 휘하의 몽족 게릴라를 지원하며 비밀 전쟁을 수행했다.[110]
- 국제 관계 변화: 파테트 라오는 권력 장악 후 베트남을 제외한 모든 이웃 국가(중국 포함)와의 경제적 관계를 단절하고 하노이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98] 이 조약으로 베트남은 라오스 내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부와 경제 전반에 고문을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6. 1.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1975년 파테트 라오의 승리로 라오스 내전이 종식되면서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94] 파테트 라오는 권력을 장악한 후, 베트남을 제외한 모든 이웃 국가(중국 포함)와의 경제적 관계를 단절하고 하노이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베트남은 라오스 내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부와 경제 전반에 고문을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98]1975년 12월 2일, 비엔티안이 파테트 라오에게 함락되자 사방 바타나 국왕은 퇴위에 동의했고, 수반나 푸마 총리는 사임했다. 수파누봉을 대통령으로 하는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고, 카이손 폼비한이 총리이자 국가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94]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은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베트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새 정부는 비공산주의 신문을 폐쇄하고 공무원, 군대, 경찰에 대한 대규모 숙청을 단행했다. 수천 명이 "재교육"을 위해 외딴 지역으로 보내졌고, 많은 이들이 그곳에서 사망하거나 최대 10년 동안 수용되었다. 폐위된 국왕을 포함한 라오스 왕실 대다수도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져 1980년대 전체주의 시대에 기아와 강제 노역으로 사망했다.[96][97] 이러한 상황은 많은 라오스인들이 국외로 탈출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특히 지식인과 기술자 계층의 이탈이 두드러졌다.[10]
6. 2. 인적, 물적 피해
라오스 내전은 라오스에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가져왔다. 특히 미국의 대규모 폭격으로 인해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고, 국토는 황폐화되었다.[111][112][113] 전쟁 중 투하된 불발탄은 현재까지도 라오스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경제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미국은 호치민 루트를 차단하기 위해 라오스에 대규모 폭격을 감행했다. 이로 인해 라오스는 역사상 가장 많은 폭격을 받은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11][112][113]6. 3. 난민 발생
라오스 내전으로 수많은 난민이 발생했다. 특히 몽족을 비롯한 소수 민족들은 파테트 라오의 박해를 피해 태국 등지로 이주해야 했다.[10] 파테트 라오가 권력을 장악한 후, 전체 인구의 10%인 30만 명이 태국 국경을 넘었다.[10] 이들 중에는 방파오를 따라 망명한 수천 명의 몽족 전투원과 그 가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라오스 난민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은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 수립 직전이나 직후에 대사관을 폐쇄했다.[92] 그러나 미국은 외교 인력을 철수했고,[92] 다른 서구 국가들은 계속 원조를 제공했다.[92]
6. 4. 냉전의 유산
라오스 내전은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미국의 라오스 개입은 베트남 전쟁의 확전과 함께,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제네바 협정은 라오스의 중립을 천명하고 있지만, 북베트남군은 남북 라오스에 대한 개입을 계속했다. 1954년부터 북베트남군을 라오스에서 철수시키려는 시도가 반복되었지만, 합의나 양보에도 불구하고 하노이 정부는 라오스나 그곳의 공산주의 세력으로부터 손을 떼려는 의지가 없었다.
북베트남군은 베트남 국경과 평행한 호치민 루트를 라오스 영내에 설치했다. 이 루트는 베트남 공화국으로의 침공을 용이하게 하고 베트콩을 지원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었다.
북베트남은 라오스 북부에서 적극적인 군사 행동을 취하고, 현지 공산주의 세력인 파테트 라오를 지원 및 유지하는 한편, 왕국 정부에 압력을 가하고 있었다.
CIA은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피하면서 북라오스에서 북베트남군의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3000명 정도의 라오스 산악 부족 출신 게릴라를 훈련시켜 대응했다. 게릴라의 대부분은 몬족이었고, 왕립 라오스군의 방 파오 장군을 따랐다. 그들은 CIA 관할 하의 에어 아메리카, 태국, 왕립 라오스 공군의 지원을 받아 베트남 인민군(PAVN), 베트콩, 파테트 라오와 싸웠다. 이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더 큰 개입을 유도할 수 있는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 년 내내 북부의 전황은 대부분 날씨에 좌우되었다. 11월과 12월 건기가 되면 북베트남군은 군사 행동을 개시했고, 통행 가능해진 루트를 통해 북베트남에서 새롭게 증원된 부대와 병참이 쇄도했다. 반년 후 우기가 되면 북베트남의 병참선은 기능 불능이 되고,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베트남 쪽으로 후퇴했다.
호치민 루트 남쪽 지역에서의 전쟁은 미국 공군과 해군에 의한 대규모 공습 작전이 주를 이루었다. 남베트남에서 지상 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정치적 제약이 루트를 평화롭게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남동부에서는 CIA의 공습 작전이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라오스 내부의 충돌은 종종 미국 내에서도 화제가 되어, 언론 등에서 CIA의 "라오스 비밀 전쟁" 등으로 표현되었다.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전쟁의 존재를 부정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라오스의 중립을 북베트남과 미국 양쪽 모두가 확인했던 이상, 미국은 전쟁을 부인해야만 했다. 미국의 개입은 북베트남이 국내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고, 라오스에서의 그 역할이 혼란스러웠던 것을 고려하면 필요한 일이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부정했을 뿐, 라오스 내전은 아프간-소련 전쟁에서 미국의 암약과 다를 바 없었다. 라오스 내부에서 북베트남이 지배하는 지역은 미국 공군의 격렬한 폭격을 일 년 내내 받았고, 역사상 유례없는 공습 작전이라고도 불린다.[111][112][113] 그 배경에는 냉전기에 몸부림치던 강대국들이 있었으며, 공산주의를 봉쇄하려는 미국의 정책과 폭동과 파괴를 통해 공산주의를 확산시키려 했던 소련과 중국의 정책이 있었다.
7. 한국의 관점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남베트남을 지원했지만, 라오스 내전에는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라오스 내전은 베트남 전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국의 베트남 파병 결정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의 라오스 개입은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로 비판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라오스 민간인들이 겪은 고통은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패권 경쟁이 초래한 비극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파테트 라오의 민족주의적 성격과 농민, 소수 민족의 지지를 얻은 점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8. 둘러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rise of Communism
https://web.archive.[...]
2017-03-22
[2]
웹사이트
Hmong rebellion in Laos
http://members.ozema[...]
2017-03-22
[3]
웹사이트
Area Handbook Series – Laos – Glossary
http://www.country-d[...]
2017-03-21
[4]
서적
From People's War to People's Rule
1996
[5]
논문
Fifty years of violent war deaths from Vietnam to Bosnia: analysis of data from the world health survey programme
2008
[6]
웹사이트
Stephen M Bland | Journalist and Author | Central Asia Caucasus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LEGACIES LIBRARY
https://www.legacies[...]
2024-05-19
[8]
웹사이트
Laos
https://web.archive.[...]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2011-11-02
[9]
웹사이트
Brief Chronology, 1959–1963
http://www.ampltd.co[...]
Foreign Office Files: United States of America, Series Two: Vietnam, 1959–1975; Part 2: Laos, 1959–1963
2011-11-02
[10]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1]
웹사이트
Laos (Erster Guerillakrieg der Meo (Hmong))
http://www.sozialwis[...]
Kriege-Archiv der Arbeitsgemeinschaft Kriegsursachenforschung, Institut für Politikwissenschaft, Universität Hamburg
[12]
웹사이트
http://factsanddetai[...]
2018-04-17
[13]
웹사이트
Bombing Laos
http://www.hartford-[...]
1995-10-09
[14]
뉴스
Wanted
https://web.archive.[...]
2001-05-18
[15]
뉴스
30-year-old bombs still very deadly in Laos
https://www.usatoday[...]
2003-12-11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17]
서적
War in Laos
[18]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19]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26]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27]
서적
War in Laos
[28]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29]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3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31]
서적
Replacing France: The Origins of American Intervention in Vietnam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7
[31]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32]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33]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34]
서적
War in Laos
[35]
웹사이트
EAPLS – Raven FAC
http://www.ravens.or[...]
2017-01-03
[36]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37]
서적
War in Laos
[3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3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40]
웹사이트
Maps, Weather, and Airports for Ban Nameo, Laos
http://www.fallingra[...]
2017-01-03
[41]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4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4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4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45]
서적
A history of Laos
https://books.google[...]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The Tragedy of the Vietnam War: A South Vietnamese Officer's Analysis
[4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50]
서적
The Tragedy of the Vietnam War: A South Vietnamese Officer's Analysis
[51]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52]
서적
War in Laos
[53]
서적
War in Laos
[5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55]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56]
웹사이트
NAKQUDA.com – Anthropology, Architecture, Art, Computer Science, Foreign Language, History, Humanities, Literature, Music, Philosophy, Politics, Psychology, Religion, Science, Sociology, Miscellaneous, Mathematics, Rocktry, & Theoretical Physics Essays
http://nakquda.com/e[...]
2017-01-03
[57]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58]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5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60]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61]
서적
War in Laos
[62]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1975
[6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64]
서적
Shadow War: The CIA's Shadow War in Laos
[65]
서적
Shadow War: The CIA's Shadow War in Laos
[66]
서적
Shadow War: The CIA's Shadow War in Laos
[67]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68]
서적
War in Laos
[69]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70]
서적
War in Laos
[7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72]
서적
Spymaster
[73]
서적
The Ravens: The Men Who Flew in America's Secret War in Laos
[74]
서적
War in Laos
[75]
서적
War in Laos
[76]
서적
War in Laos
[77]
웹사이트
Beginning of Air Operations in Laos
http://chancefac.net[...]
2017-01-03
[78]
서적
War in Laos
[79]
서적
War in Laos
[8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81]
서적
Victory in Vietnam
[82]
뉴스
Debate Bombing Russian Ships at Haiphong
https://news.google.[...]
The Lewiston Daily Sun
1965-11-18
[83]
서적
Blond Ghost: Ted Shackley and the CIA's Crusaders
[84]
서적
Blond Ghost: Ted Shackley and the CIA's Crusaders
[85]
서적
Victory in Vietnam
[86]
서적
Victory in Vietnam
[87]
서적
Victory in Vietnam
[88]
서적
Victory in Vietnam
[89]
서적
Victory in Vietnam
[90]
논문
Amidst the Heat of the Cold War in Asia: Thailand and the American Secret War in Indochina (1960–74)
https://www.tandfonl[...]
2007-07-12
[91]
서적
The Keng Khanh Concentration Camp of 1975 in Laos: A Story of Hatred, Hope, and Redemption
Strategic Book Publishing & Rights Agency
[92]
서적
The Keng Khanh Concentration Camp of 1975 in Laos: A Story of Hatred, Hope, and Redemption
Strategic Book Publishing & Rights Agency
2016
[93]
뉴스
Souvanna Phouma Says He Plans to Retire in '76
https://www.nytimes.[...]
1975-09-06
[94]
뉴스
Laotian Coalition Seen Near an End
https://www.nytimes.[...]
1975-12-01
[95]
서적
The Keng Khanh Concentration Camp of 1975 in Laos: A Story of Hatred, Hope, and Redemption
Strategic Book Publishing & Rights Agency
2016
[96]
서적
Tragic Mountains: The Hmong, the Americans, and the Secret Wars for Laos, 1942–1992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97]
논문
Conceptualising Party-State Governance and Rule in Laos
[98]
서적
Southeast Asian Affairs
ISEAS-Yusof Ishak Institute
[99]
서적
Sky is Falling: an Oral History of the CIA's evacuation of the Hmong from Laos
McFarland
[100]
웹사이트
Chuyên đề 4 CÔNG TÁC TÌM KIẾM, QUY TẬP HÀI CỐT LIỆT SĨ TỪ NAY ĐẾN NĂM 2020 VÀ NHỮNG NĂM TIẾP THEO
http://datafile.chin[...]
[101]
웹사이트
Making More Enemies than We Kill? Calculating U.S. Bomb Tonnages Dropped on Laos and Cambodia, and Weighing Their Implications
http://apjjf.org/201[...]
2015-04-26
[102]
서적
The Untold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Simon & Schuster
[103]
뉴스
Forty years on, Laos reaps bitter harvest of the secret war
https://www.theguard[...]
2008-12-03
[104]
웹사이트
Lao PDR – Casualties and Victim Assistance
http://www.the-monit[...]
2021-12-01
[105]
웹사이트
James Madison University – CISR Home
http://maic.jmu.edu/[...]
2017-01-03
[106]
뉴스
'My friends were afraid of me': What 80 million unexploded US bombs did to Laos
http://www.cnn.com/2[...]
2016-09-06
[107]
웹사이트
Disarmament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2011-11
[108]
웹사이트
"Acts of Betrayal: Persecution of Hmong", by Michael Johns, ''National Review'', 23 October 1995
http://findarticles.[...]
[109]
웹사이트
Hmong Immigration
http://www.nvo.com/b[...]
[110]
웹사이트
Laos
http://www.ucdp.uu.s[...]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2011-11-02
[111]
웹사이트
Bombing Laos
http://www.hartford-[...]
[112]
웹사이트
''Wanted''
http://www.salon.com[...]
2001-05-18
[113]
뉴스
30-year-old bombs still very deadly in Laos
http://www.usatoday.[...]
2003-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